모닝글로리 개인정보 처리방침모닝글로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목적)모닝글로리가 개인정보 보호법 제32조에 따라 등록․공개하는 개인정보파일의 처리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2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① 모닝글로리는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지 않습니다. 제3조(개인정보 파일의 현황)① 모닝글로리는 개인정보 파일, 쿠키 등 을 사용하지 않고, 저장하지 않습니다. 제4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① 모닝글로리는 개인정보 파일, 쿠키 등 을 사용하지 않고, 저장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처리할 내용과..

이번 글에서는 DI와 DIP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Dependency Injection & Dependency Inversion Principal결합도를 느슨하게 되도록하고 의존관계 역전 원칙과 단일 책임 원칙을 따르도록 클라이언트 생성에 대한 의존성을 클라이언트의 행위로 부터 분리하는 것기존의 의존성을 개선해 의존성을 외부에서 주입하려고 함DI: collection of Patterns, TechniquesDIP: Guidline on how to create loosly coupled and easy to maintain software여기까지 키워드들에 대해서 간단히 적어봤구요, 좀 더 들어가보겠습니다. 우선..의존한다?라는 의미부터 풀어보죠. A가 B에 의존한다는 것은? B의 상태에 따라..

Swift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은 UserDefaults, CoreData, Realm 등이 있습니다. 우선, UserDefaults는 간단한 String, Int 등의 단일 데이터 저장에 적합하지만, 객체 형태로 여러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관리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반면, CoreData는 객체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 복잡한 데이터 관리가 가능하지만, Xcode를 통해 Entity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읽거나 추가, 수정하는 과정이 다소 복잡하며 초기 설정이 번거롭습니다. 또한, 스레드 관리와 데이터 관계 설정이 필요해 개발 과정에서 추가적인 구현과 관리가 요구됩니다.이러한 이유로 저는 보다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를 위해 Realm을 선택하였습니다. 이제, Realm의 특징과 장점..

이번엔 메모리 구조에 대해 살펴보고 흐름 살려서 다음 포스팅엔 ARC가 목표.!! 입니다. 레쓰고!! 자 우선메모리의 역할프로세스가 실행될 때,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공간 메모리 계층구조메모리 계층 구조를 속도 순서대로 정렬해보겠습니다!- 레지스터: CPU 내부에 위치하며, CPU가 직접 접근하는 데이터 및 명령어를 저장- 캐시: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해,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에 빠르게 접근 가능하게 해줌- RAM(주기억장치):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데이터, 프로그램 저장, 휘발성- 보조기억장치: 하드드라이브, SSD, 외부저장장치 등 데이터 영구적으로 저장, 속도는 느리지만 저장용량 큼 메모리 구조프로세스가 실행되면 OS에서는 메모리 공간을 할당해주는데요, 그 구조를 ..

이번 글에서도 좀 헷갈리는 친구들에 대해 정리해볼까 합니다.우리가 SwiftUI에서 MVVM구조로 코드를 짤 때, ViewModel 설정시, ObservableObject를 채택해줍니다.그다음, View에서 viewmodel이라는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ObservedObject 혹은 @StateObject를 붙여주어, viewmode이라는 개체내의 @Published로 선언된 프러퍼티가 변경되면 자동으로 UI를 업데이트 시켜줍니다. 그렇다면 차이점은...? 우선 눈으로 보는게 이해하는게 빠르기때문에..!@ObservedObject우선 @ObservedObjct 부터 확인해보면 상위뷰 변화 > 하위뷰 변화 > 상위뷰 변화 순서대로 변화를 주게 되면마지막 상위뷰 변화 때, 하위뷰의 값이 초기화 되는것..

이번 게시글에서는 제목처럼 ObservedResults, ObservedRealmObject에 대해 공부한 것을 주저리 주저리 풀어보려고 합니다. SwiftUI와 Realm을 활용하여 출시앱을 만드려고 하다보니 이 두 property wrapper에대해 알아야만 했는데요..!ObservedResults쉽게 이야기하면 복수객체에 대해 접근하여 정보를 핸들링할 때, 이 프로퍼티를 사용하면 됩니다...?복수객체...?램스튜디오에 들어갔을 때 하나의 클래스명 안에 구성되어있는 요소들이 하나씩 있을텐데요, 이 요소전부 다를 가져올 때 ObservedResults라는 프로퍼티래퍼를 사용합니다.다시말해, Realm 객체 모음을 관찰하는 것이고, 더 쉽게 생각하면 저기 보이는 모든 행을 다 가져와서 쓸거야~ 라는 거..
- 안드로이드
- 환급챌린지
- realm
- SwiftUI
- ios
- 패스트캠퍼스후기
- Kotlin
- swift
- GCD
- 위젯
- UIKit
- 대칭키
- 네트워크
- AOS
- 앱개발
- 자료구조
- 습관형성
- https
- CPU
- 직장인자기계발
- alamofire
- 오공완
- 패스트캠퍼스환급
- http
- 패스트캠퍼스
- 운영체제
- Android
- jetpack compose
- 비대칭키
- compos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